교환사채
교환사채는 회사가 사채를 발행할 때 일정 기간이 지난 뒤 발행사가 보유한 다른 주식과 교환할 권리를 부여한 사채를 말합니다. 교환사채 보유자는 교환한 주식의 가격이 오를 경우 시세차익을 얻게 됩니다. 교환대상은 반드시 유가증권에 상장된 주식만 가능하며 교환 대상 주식을 증권예탁원에 예탁해야 합니다.
전환사채나 신주인수권부사채는 사채보유자가 권리를 행사할 경우 사채를 발행한 주식을 추가로 발행하기 때문에 자본 변동이 발생하지만 교환사채는 자본 변동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교환사채 발행회사는 낮은 이율로 사채를 발행해 금융비용 부담을 줄이는 이점이 있고 사채투자자 역시 교환대상 주식의 가격이 상승할 경우 시세차익을 얻기에 발행회사와 사채투자자 모두 이익을 취할 수 있으며 자본 변동이 없어 기존 투자자들에게 영향을 끼치지 않습니다.
교환사채 보유자가 교환 권리를 행사하면 사채 발행회사에 자산 감소가 발생합니다. 그리고 교환사채도 전환사채처럼 교환가격 조정 조건이 있습니다. 교환사채를 발행하면 부채항목에 교환사채 금액이 증가하고 현금이 유입됩니다. 그리고 교환대상 주식은 증권예탁원에 예탁합니다.
만약 사채보유자가 주식교환을 신청하면 부채는 소멸하고 발행회사는 교환주식을 사채보유자에게 양도합니다. 그러면 자산과 부채가 동시에 감소하게 됩니다.
교환사채가 발행되는 이유
교환사채를 발행하는 이유는 주식을 시장에 대량 매각하여 자금을 조달하게 되면 현재 가격보다 훨씬 저렴하게 시장에 내놓아야 합니다. 하지만 교환사채를 현재 가격보다 더 높게 발행하여 자금을 조달할 경우 주식을 싸게 팔지 않아도 됩니다. 또한, 만약 주가가 하락하여 교환 청구가 들어오지 않더라도 만기이자율이 매우 낮기에 큰 자금을 아주 적은 비용을 주고 사용한 결과가 발생합니다.
이처럼 교환사채는 보유주식을 활용하여 주식을 처리하며 자금을 조달하거나 보유주식을 담보로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입니다. 주로 전환사채나 신인수권부사채로 자금을 조달하는 경우가 많아 교환사채를 보기는 힘듭니다.
영구채
영구채는 만기가 정해져 있지만 콜옵션이 주어지므로 발행회사가 만기를 연장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론적으로 만기를 계속 연장할 수 있기에 회계상으로 부채가 아닌 자본으로 인정받는 채권입니다. 말 그대로 영구적으로 원금을 상환하지 않아도 되는 불상환 자금조달입니다. 그래서 부채가 아닌 자본항목에 넣는 것입니다.
영구채는 원금을 상환할 필요가 없고 이자만 지급하게 됩니다. 영구채로 자금을 조달할 경우 부채비율이 낮아지고 재무구조가 개선됩니다. 그래서 영구채는 신종자본증권에 포함됩니다. 채권 소유자는 원금을 받지 못하더라도 이자를 영원히 받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되면 투자하게 됩니다.
'재무제표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주인수권부사채와 전환사채의 차이점 (0) | 2022.12.21 |
---|---|
전환사채 발행과 조기상환청구권 (0) | 2022.12.20 |
부채비율을 올리는 선수금 (0) | 2022.12.19 |
액면분할과 무상증자가 주가에 미치는 영향 (0) | 2022.12.17 |
부채를 유용하게 사용하는 기업 (0) | 2022.12.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