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포스팅에서 전환사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전환사채같은 특수사채 중 하나인 신주인수권부사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신주인수권부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Bond with Warrant)는 신주를 인수할 권리를 부여한 사채입니다. Bond with Warrant에서 워런트란 일정 가격에 주식을 살 수 있는 권리를 뜻합니다.
신주인수권부사채는 전환사채와 비슷한 것 같지만 다른 면도 있습니다. 전환사채와 신주인수권부사채의 가장 큰 차이는 사채를 주식으로 전환하냐 새로운 자금을 투자해 신주를 인수하냐의 차이입니다.
전환사채는 사채를 매입할 경우 사채 금액에 해당하는 만큼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채권입니다. 그리고 사채를 주식으로 매입할 때 부채에서 사채가 사라지고 그만큼 자본이 증가하게 됩니다.
하지만 신주인수권부사채는 단순히 신주를 인수할 권리가 있는 사채입니다. 신주인수권부사채는 신주를 인수하면 자본은 증가합니다. 하지만 사채는 그대로 존재합니다. 말 그대로 사채를 매입하는 대신에 신주를 추가 발행할 때 먼저 매입할 수 있는 권리를 주는 것입니다. 쉽게 풀면 돈 빌려준 대가로 싸게 주식을 살 수 있는 권리를 주는 것입니다. 그러면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것이 채권보유자에게 추가적인 자금투입 없이 주식을 취득할 수 있는 데 왜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신주인수권부사채 발행 이유
전환사채를 두고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이유는 대주주가 지분을 늘려 대주주 지분을 강화할 때 주로 사용합니다. 대주주가 신주인수권만 따로 분리해서 매수하고 나중에 이를 주식으로 전환하면 지분을 늘릴 수 있습니다.
이처럼 신주인수권도 주식처럼 거래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어떻게 보면 신주인수권은 신주를 살 수 있는 권리를 사는 것이므로 처음부터 배정 받은게 아니라면 굳이 돈 주고 권리를 사서 신주를 또 돈 주고 살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재무제표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수사채 중 교환사채와 영구채 (0) | 2022.12.22 |
---|---|
전환사채 발행과 조기상환청구권 (0) | 2022.12.20 |
부채비율을 올리는 선수금 (0) | 2022.12.19 |
액면분할과 무상증자가 주가에 미치는 영향 (0) | 2022.12.17 |
부채를 유용하게 사용하는 기업 (0) | 2022.12.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