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무제표 공부

은행차입, 회사채, 특수사채 등 부채

by 버퓟 2022. 12. 8.
728x90
반응형

그동안 포스팅에서는 자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자산의 용도와 매출채권, 대손충당금

자산의 용도 자산은 크게 3가지 용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첫째: 금융자산, 둘째: 사업용자산, 셋째: 투자자산입니다. 금융자산에는 현금성 자산, 기타금융자산,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 기타 유

wonraebuffet.tistory.com

 

 

자산으로 망할 회사 안 망할 회사 구분짓기

자산에는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이 있고 부채에도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가 있습니다. 유동자산: 1년 내에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 비유동자산: 현금화하는데 1년 이상의 시간이 걸리는 자산 유

wonraebuffet.tistory.com

 

이번에는 부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부채는 빚입니다. , 남에게 빌린 돈입니다. 부채의 특징은 남에게 빌린 돈을 다시 갚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빚에는 갚아야 하는 만기일이 정해져 있습니다. 만약 갚지 않으면 추가적인 연체이자와 빚 독촉이 시작됩니다. 이처럼 부채와 자본의 가장 큰 차이는 만기가 있는가 없는가로 둘 수 있습니다. 만약 기업이 부채를 상환기일까지 갚지 못하고 미뤄지게 되면 기업의 신뢰도는 추락하고 기업의 주가 또한 급락하게 됩니다.

 

기업이 부채 없이 자기자본만으로 사업을 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모든 부채를 무조건 나쁘게만 생각할 필요는 없습니다. 부채 중에서도 매입채무와 같이 이자가 없는 부채도 존재합니다. 또한, 부채를 잘 활용하면 레버리지 효과로 사업에 큰 도움이 됩니다. 레버리지 효과란 부채를 활용하여 자기자본 대비 영업이익을 증가시켜 자기자본이익률을 높일 수 있는 것입니다.

 

또한, 특수사채인 신주인수권부사채와 전환사채를 활용하여 자금을 조달하기도 합니다. 특수사채는 부채지만 동시에 자본의 성격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특수사채를 왜 발행하는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기업이 자기자본으로 자금을 조달하기에 부족함이 있다면 부채로 자금을 조달합니다. 부채로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에는 은행차입, 회사채발행과 특수사채 발행이 있습니다.  각각의 자금조달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은행차입

은행차입은행에서 담보대출이나 무담보대출로 돈을 빌리는 것이다. 이때 기업의 신용도가 큰 영향을 미치며 사업이 잘되면 언제든 상환할 수 있습니다.

 

 

회사채발행

회사채발행기업이 자기신용을 이용해 불특정 다수에게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입니다. 회사의 신용도가 매우 높으면 무보증 채권도 가능하지만, 대부분은 보증채권을 발행합니다. 보증채권이란 채권을 발행한 회사가 부도가 발생하면 금융기관이 회사채 원금과 이자를 대신 갚아주는 보증이 포함된 채권입니다. 보증채권의 단점은 회사가 금융기관에 보증을 서주는 대가로 보증수수료를 추가로 줘야 하므로 자금조달비용이 은행차입보다 높습니다.

 

 

특수사채 발행

특수사채 발행은 자체 자금조달이나 은행차입이 어렵고 회사채발행에 따른 이자 비용도 감당하기 어려운 회사가 마지막으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특수사채는 보통 주식전환을 조건으로 무이자나 낮은 이율로 채권을 발행합니다. 당장 이자 비용을 걱정할 필요가 없고 주식으로 전환될 경우 자기자본이 오히려 강화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