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무제표 공부

유형자산과 감가상각 회계처리

by 버퓟 2022. 12. 4.
728x90
반응형

자산에 대해서 다시 복습해봅시다. 자산은 크게 유동자산비유동자산으로 나뉩니다. 유동자산에는 현금, 매출채권, 재고자산 등이 있고 비유동자산에는 유형자산, 무형자산 등이 있습니다. 이중 비유동자산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유형자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유형자산에는 건물이나 공장 설비들이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감가상각이 지속해서 진행합니다.

 

투자활동 현금흐름표를 확인하면 유형자산 취득항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 투자활동 현금흐름

이를 통해 설비투자 등의 유형자산 취득이 발생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금액이 설비투자의 규모를 대변하지는 않습니다. 그 이유는 유형자산 취득 자금의 일부를 외상으로 매입했을 경우 실제 설비투자 규모가 현금흐름표의 유형자산 취득 규모보다 클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설비투자의 규모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회사의 사업보고서 주석사항을 참고해야 합니다.

삼성전자 취득금액

주석사항에서 정확한 토지, 건물, 구축물, 기계장치 등의 취득금액이 나타납니다. 이를 통해 회사가 유형자산의 정확한 취득금액을 알 수 있고 감가상각 비용도 알 수 있습니다. 사실 토지를 제외한 유형자산의 경우 감가상각이 지속해서 발생하므로 자산에 포함되어 있지만, 비용이나 다를 게 없습니다. 단순히 유형자산으로 회사의 가치를 평가하는 것은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유형자산은 매년 가치가 감소하고 오히려 앞으로 지출할 비용이 점점 증가한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오히려 요즘엔 IT 관련 업체가 많이 생겨나면서 유형자산이 회사 총자산에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는 경우들도 많이 있습니다. 유형자산이 회사의 가치를 대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유형자산은 자산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비용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아보았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