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에 대해서 다시 복습해봅시다. 자산은 크게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으로 나뉩니다. 유동자산에는 현금, 매출채권, 재고자산 등이 있고 비유동자산에는 유형자산, 무형자산 등이 있습니다. 이중 비유동자산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유형자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유형자산에는 건물이나 공장 설비들이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감가상각이 지속해서 진행합니다.
투자활동 현금흐름표를 확인하면 유형자산 취득항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설비투자 등의 유형자산 취득이 발생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금액이 설비투자의 규모를 대변하지는 않습니다. 그 이유는 유형자산 취득 자금의 일부를 외상으로 매입했을 경우 실제 설비투자 규모가 현금흐름표의 유형자산 취득 규모보다 클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설비투자의 규모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회사의 사업보고서 주석사항을 참고해야 합니다.
주석사항에서 정확한 토지, 건물, 구축물, 기계장치 등의 취득금액이 나타납니다. 이를 통해 회사가 유형자산의 정확한 취득금액을 알 수 있고 감가상각 비용도 알 수 있습니다. 사실 토지를 제외한 유형자산의 경우 감가상각이 지속해서 발생하므로 자산에 포함되어 있지만, 비용이나 다를 게 없습니다. 단순히 유형자산으로 회사의 가치를 평가하는 것은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유형자산은 매년 가치가 감소하고 오히려 앞으로 지출할 비용이 점점 증가한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오히려 요즘엔 IT 관련 업체가 많이 생겨나면서 유형자산이 회사 총자산에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는 경우들도 많이 있습니다. 유형자산이 회사의 가치를 대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유형자산은 자산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비용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아보았습니다.
'재무제표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자보상배율과 부채비율 (0) | 2022.12.09 |
---|---|
은행차입, 회사채, 특수사채 등 부채 (0) | 2022.12.08 |
영업활동현금흐름 투자활동현금흐름 연결재무제표 회계처리 (0) | 2022.12.03 |
매도가능금융자산 매도가능증권 (0) | 2022.12.01 |
재고자산 회전율과 평가충당금 (1) | 2022.1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