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무제표 공부

순차입금 비율과 현금비율, 마이너스 순차입금

by 버퓟 2022. 12. 15.
728x90
반응형

 

 

순차입금

투자할 회사를 볼 때 회사의 안정성을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안정성 지표를 대표하는 것은 부채비율이지만 순차입금비율도 중요합니다.

차입금이란 이자를 내는 부채를 뜻합니다. 은행에서 돈을 빌리거나 사채를 발행하면 이자를 내는데 이런 종류의 부채는 차입금이며 원재료를 구입하고 대금을 지급하지 않은 매입채무는 이자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차입금이 아닙니다. 순차입금은 차입금에서 회사가 보유한 현금과 예금을 차감한 것이며 순부채와 같은 말입니다.

 

순차입금 = 차입금 – 현금, 예금

순현금 = 현금, 예금 – 차입금

 

순차입금은 이자를 내는 회사의 빚을 회사가 보유한 현금과 예금을 빼고 남는 차입금입니다. 그렇기에 순차입금이 마이너스인 것은 회사 내 현금과 예금이 넉넉하다는 것을 뜻합니다.

 

순차입금 비율 = 순차입금 / 자본총계

 

순차입금 비율 역시 마이너스일 경우 재무상태가 매우 좋습니다. 순차입금비율이 20퍼센트 이하만 되어도 안정성이 뛰어납니다.

 

현금비율 = 현금, 예금 / 유동부채

 

현금비율은 유동부채와 유동부채를 전부 갚을 수 있는 현금, 예금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유동부채가 100억이고 회사가 보유한 현금과 예금이 1000억이 있다면 현금비율은 1000퍼센트입니다. 이처럼 1년 안에 갚아야 할 유동부채에 비해 회사가 보유한 현금, 예금이 얼마나 여유롭게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순차입금이 마이너스인 기업은 안정성이 보장되어있다고 봐도 무방 합니다. 회사가 보유한 현금, 예금으로 언제든 부채를 갚고도 현금이 충분히 남기 때문입니다. 금리가 올라가는 경우 금융비용이 증가하게 되는데 현금으로 부채를 줄여 순이익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순차입금이 마이너스인 기업은 현금부자라고 보면 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